2025년 7월 14일 기준으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요 이슈 10가지
2025년 7월 14일 기준으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요 이슈 10가지
🔥 인덱스 목차
- 글로벌 희귀광물 경쟁
- 유럽 대규모 산불
- BRICS 확장과 탈(脫)서구 질서
-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
- 지오이코노믹스 시대
- 기후변화와 COP30 대전환
- 전 세계 산호 백화현상
- 인도·파키스탄 군사 긴장
- 중국 경기 둔화 및 무역 압박
- 글로벌 디지털 시장 집중화
1. 글로벌 희귀광물 경쟁
국제사회에서 청정에너지, 반도체, 방위산업용 희귀광물 확보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EU는 전략적 비축 계획을 추진 중이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G20 정상회의에서 국제자원기구 설립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Financial Times, 위키백과, 가디언, U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투자 전략
- 희귀금속 추출·정제 업체 선별
- 배터리·클린테크 소재 관련 ETF 분산투자
- 공급망 불안 대비 광산권 보유 기업 스크리닝
전략 국내 주요 종목 (업종 선두)
희귀광물 정제 비중 높은 화학 | POSCO(희소금속 투자), 엘엠에스 |
2차전지 소재 기업 | LG화학, SK이노베이션 |
2. 유럽 대규모 산불
2025년 유럽 지중해 지역은 이례적인 폭염과 가뭄으로 기록적인 산불이 발생했고, 수만 명이 대피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투자 전략
- 글로벌 재보험·보험사 지분 보유 상품 관심
- 친환경 에너지 저장 솔루션 기업 주목
- ESG 평가 높은 인프라 기업 위주 접근
전략 국내 주요 종목
기후리스크 보험 관련 금융 | 삼성화재, 교보생명 |
신재생에너지+배터리 | 한화솔루션, 삼성SDI |
3. BRICS 확장과 탈(脫)서구 질서
브릭스(BRICS)는 11개 회원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글로벌 금융 구조 개선과 탈서구 금융 시스템 구축을 꾀하고 있습니다. 중국 주도의 결속력 강화 중입니다.
투자 전략
- BRICS 관련 신흥국 수출기업 이익 기대
- 금·원자재 ETF 또는 상품 통화 분산
- 국제 결제 시스템 다변화 관련 메가은행 관심
전략 국내 주요 종목
신흥국 수출 수혜 종목 | 삼성전자, 현대차 |
금융 인프라 기업 | KB금융, 신한지주 |
4.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재개되면서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환경이 다시 요동치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타깃국, 산업은 물론 불확실성 자체가 리스크입니다.
투자 전략
- 관세 영향을 덜 받는 내수 중심 기업 비중 확대
- 공급망 다변화 기업 중심의 펀드 활용
- 금리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인컴형 자산 확보
전략 국내 주요 종목
내수·국내 서비스 중심 기업 | 카카오, 쿠팡 |
인컴형 자산 (리츠, 배당주) | 한국전력, KT&G |
5. 지오이코노믹스 시대
경제 정책과 지정학이 융합된 지오이코노믹스가 부상하며, 각국은 무역장벽, 정책 통제 중심 산업정책으로 국가 이익을 우선시합니다.
투자 전략
- 전략적으로 보호되는 기술/산업 중심 기업 탐색
- 정책 대응력이 우수한 방산·인프라 기업 점검
- 국가 주도산업 수혜주 중장기 투자
전략 국내 주요 종목
반도체·AI 보호산업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방산·국방 관련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
6. 기후변화와 COP30 대전환
COP30(2025년 11월 브라질) 전, 기후변화 대응이 세계적 긴급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국가별 NDC 제출이 늦어지고 있고, 탄소중립 실천 속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투자 전략
- 탄소배출권 거래소 ETF 참여
- 저탄소·수소 관련 산업기업 비중 확대
- ESG 리포트 우수 기업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국내 주요 종목
탄소배출권 관련 금융 | 삼성자산운용(ETF), 미래에셋 |
그린에너지·수소 산업 | 두산퓨얼셀, 효성첨단소재 |
7. 전 세계 산호 백화현상
2023년부터 진행된 전 세계 산호 백화 현상은 사상 최대 규모로, 전 지구 산호 생태계의 84%가 영향을 받았습니다. 해양 생물 다양성 감소가 우려됩니다.(theaustralian.com.au, Financial Times, 위키백과)
투자 전략
- 해양 보존 기술, 친환경 해양산업 펀드 모니터링
- 지속가능 수산업 중심 ETF 접근
- ESG 기준 엄격한 항만·운송 인프라 기업 집중
전략 국내 주요 종목
친환경 수산업·해양기술 | 한국수력원자력(해양기술), 현대미포조선 |
ESG 인프라 구축 기업 | LS ELECTRIC, 두산중공업 |
8. 인도·파키스탄 군사 긴장
2025년 4월,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테러 발생 이후 양국 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다다랐습니다. 테러, 국경 충돌, 수자원 협약 중단 등의 변수가 시장 불확실성을 높입니다.
투자 전략
- 방산 관련 글로벌 수요 증가 기대 산업 주목
- 지정학 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원자재·금 관련 자산 확보
- 외교 리스크 높은 국가 노출 기업 회피
전략 국내 주요 종목
방산 핵심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
원자재·금 관련 펀드 | 미래에셋골드ETF, 삼성자산운용 |
9. 중국 경기 둔화 및 무역 압박
중국은 2분기에 GDP 성장률이 5.4%에서 5.2%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관세 위협과 소비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usnews.com, spglobal.com)
투자 전략
- 중국 수출 의존도가 낮은 현지 생산 기업 강화
- 국내 내수 기업 위주 포트폴리오 확대
- 기술주 고밸류에이션 리스크 관리
전략 국내 주요 종목
중국 의존 낮은 소비주 |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
내수 중심 IT·서비스 | 네이버, 엔씨소프트 |
10. 글로벌 디지털 시장 집중화
상위 5개 디지털기업이 글로벌 매출의 48%를 차지하며 시장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EU는 경쟁법 강화, 소비자 보호 정책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투자 전략
- 국내 대형 플랫폼 기업 중 독점 규제 리스크 낮은 종목 선별
- 디지털 광고·클라우드·AI 수혜 관련 펀드 참여
- 유럽 · 미국 규제 변화 대응 ETF 활용
전략 국내 주요 종목
플랫폼·클라우드 중심 기업 | 네이버, 카카오 |
AI/빅데이터 관련 서비스 | 더존비즈온, 삼성SDS |